홍콩지역 언론보도 동향 2024-11-27

by 뉴스레터 posted Nov 27, 2024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ESC닫기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
[홍콩마카오 정세]

ㅇ 美 하원 의원들, “홍콩글로벌 자금세탁 및 ··이란 등이 국제제재 회피하는 금융범죄센터로 전락홍콩 은행업과의 관계 검토 필요홍콩 정부, “사실이 아니며 허위사실 유포” 강력 반발(다수 언론)

中 외교부 주홍콩 특파원공서美 정치인들의 홍콩 비방 단호히 반대비방은 헛수고홍콩의 발전 저지할 수 없어

ㅇ 홍콩 경무처·관세청·징교서 등 6개 부서대테러 대응 강화 위한 정보팀 등 7개 소조로 구성된 ‘3중 예방 메커니즘(ICTU)’ 신설(다수 언론)

ㅇ Mohsen Bakhtiar 주중 이란대사, 11.26 홍콩 방문해 주홍콩총영사관에서 홍콩 언론매체들과 인터뷰 가져홍콩과 협력 모색 희망”()

 

(사설 및 칼럼)

ㅇ 홍콩은 자체 ‘5개년 계획이 시급히 필요해(B9(王向偉))

ㅇ 홍콩 거버넌스의 핵심 : ‘제한된 정부에서 효과적인 정부로 탈바꿈(B9(甘文鋒))

ㅇ 홍콩의 고품질 발전 촉진 위해 정재계는 서로 협동하여 나아가야(A23(邱達根))

 

[중국 관련]

ㅇ 시진핑 주석, 11.26 방중한 리셴룽 前 싱가포르 총리 만나쑤저우 공단싱가포르가 中 개혁개방에 깊이 참여한 증거”(다수 언론)

싱가포르, 11.25 中 허난에서 육군 합동훈련 진행

ㅇ 中 국가안전보위부, “최근 특정 국가에서 中 대학 교직원학생 입국심사 시 첨단 기술국방생명과학 등 관련 세부 질문”(S)

ㅇ 美 IT 업계 근무했던 중국계 미국인(李平), 중국 정부 대리인 혐의 인정으로 징역 4년형 및 벌금 25만달러 선고받아(,)

ㅇ 류롄허(劉連舸前 중국은행 당서기 겸 회장뇌물수수 및 불법행위 혐의로 사형 집행유예()

ㅇ 왕이 中 외교부장, 11.26 방중한 시아르토 헝가리 외무장관 만나시아르토, “헝가리과 함께 세계 평화와 안정 공동 추진 희망”()

ㅇ 中 분석가들, “에 하이마스 배치는 대만 인근 해역에 中 접근 차단하려는 의도”(S)

ㅇ 美 군용기 1, 11.26 대만해협 비행에 도발 중단하고 지역 평화 공동 추구 촉구(,)

ㅇ 대만 외교부, “압박받던 남아공측의 자발적 이전 요청 철회로 남아공 대만 대표처 당분간 운영 지속 가능”()

ㅇ 대만 National Chengchi University, 11.23-29 예비군훈련 위해 캠퍼스 일부 제공비평가들, “대학이 임시 탄약고 및 인민해방군의 표적될까 우려”(S)

 

(사설 및 칼럼)

ㅇ 추가 관세트럼프는 중국 협박하려는 의도(A6)

ㅇ 美 윈윈 추구중국은 먼저 예를 갖춘 후 필요시 투쟁(A22(范强))

ㅇ 러 북극 협력 강화에 따라 서방국들은 북극 긴장 완화 위해 참여와 경계의 밸런스 맞춰야(SA13(Nong Hong))

 

[경제통상]

ㅇ 홍콩 10월 수출액 HK$3,930억으로 전년 동월대비 3.5% 증가해 8개월來 최소 증가폭예상치 하회(,)

홍콩 10월 수입액 HK$4,240억으로 전년 동월대비 4.5% 증가

ㅇ 홍콩공항관리국홍콩의 국제항공허브 역할 강화 및 대만구 발전 추진 위해 RMB43억으로 주하이공항 35% 지분 매입(,,S)

ㅇ 홍콩 문화스포츠·관광국, 11.26 <문화예술콘텐츠산업발전청사진발표…△중화전통문화 홍보 다원 및 국제화 콘텐츠산업 발전 국제플랫폼 구축해 -외국 문화예술 교류 촉진 콘텐츠산업 생태계 개선 4대 방향으로 홍콩을 -외국 문화예술교류센터로 건설 목표(,,S)

ㅇ Bonnie Chan HKEX 총재홍콩의 IPO 시장 회복 추진 위해 적격 中 기업의 홍콩증시 상장 절차 가속화할 것” 선언(S)

ㅇ 中 인민은행, “민간기업·중소기업에 대해 정책 집중해야자국 금융기관들에 민간기업·중소기업·테크기업에 대한 투자 강화 촉구(S)

ㅇ 트럼프, “취임 후 對中 수입관세 10% 추가 인상” 예고주미 대사관, “무역·관세전쟁에 승자 없을 것” 강조(,,S)

트럼프의 對中 수입관세 인상 예고로 11.26 달러당 中 역외위안화 환율 7.27대로 절하해 7개월來 최저치

애널리스트 트럼프의 對中 수입관세 인상으로 홍콩의 경제·수출에 타격 전망홍콩 제조사들의 목표시장 동남아시아·중동으로 이전 가속화 가능성

ㅇ EU 고위급, “과 자속 협상하고 있으나 현저한 의견차 상존Bernd Lange EU 무역위원회 위원장의 -EU 전기차 수입관세 협상 합의 접근說 부인(,)

- EU, 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원 이유로 中 기업 30·개인 50명 제재

 

(사설 및 칼럼)

ㅇ 콘텐츠 산업 벌전 추진으로 홍콩의 소프트파워 강화(A2)

ㅇ 트럼프의 관세정책은 의 제조업 활기 회복시킬 수 있을까?(SA4(Mandy Zuo, Miyasha Nulimaimaiti))

 

대공보(), 성도일보(), 명보(), 경제일보(), 신보(), 오문일보(), SCMP(S)

 

 

 

/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