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존 리 행정장관, 12.9 방홍한 아프리카, 미주, 아시아, 유럽 및 오세아니아 12개국 고위급 정부 관리 대표단과 면담 갖고 홍콩의 장점과 발전기회 소개(다수 언론)
ㅇ 홍콩 정부, 내년 말부터 택시에 차량용카메라 강제 장착 및 전자결제 장비 설치 의무화 시행 예정(다수 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존 리 행정장관 12개국 관리와 면담, 中 외교부 주홍콩 특파원공서는 홍콩의 국제적 공간 확장 도와(명A13(李先知))
ㅇ 민주파 국가안전법 위반 혐의 피고인들의 조기 석방 문턱 높아(신A17(余錦賢))
[중국 관련]
ㅇ 시진핑 주석, 중앙정치국회의 주관…내년 경제 업무 논의(다수 언론)
ㅇ 장신(張新) 광둥성 부성장, 12.9 면직 및 전인대 대표 자격 박탈돼…이유는 未공개(대,성,명)
ㅇ 트럼프, 12.6 美 방송국 인터뷰 시 “시진핑 주석과 잘 지내기로 협의하고 최근 대화 나눠”(경)
ㅇ 호주, 태평양 섬나라 나우루와 안보조약 체결…中의 영향력 견제(명,신,S)
ㅇ 필리핀, 도박 관련 중국인 190명 추방…中과의 긴장 고조 상황 속, 양국 협력의 신호(S)
ㅇ 中‧시리아 관계, 친중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몰락 후 시험에 들어…분석가들, “中‧시리아 새 정부, 협력‧투자 관련해 실용적으로 접근할 것”(S)
ㅇ 대만군, “中 인민해방군, 12.9-12.11 임시 비행제한구역 7곳 설정 및 대만 인근 해역에 해군‧해안경비대 함정 파견”…비상대응 및 전투준비 훈련(다수 언론)
ㅇ 美, 대만에 M1A2T 전차 판매…1차 12월 중순 대만 도착 예정(경)
ㅇ 왕후닝(王滬寧) 中 정협 주석, 12.9 푸젠성 개최 양안 기업가 정상회의 축하서한에서 “대만 독립 반대, 하나의 중국 원칙” 언급(대,명)
(사설 및 칼럼)
ㅇ 중앙정치국회의, 다양한 긍정적 신호 내보내(대A6)
ㅇ 트럼프는 ‘대만카드’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…대만해협의 미래는 여전히 험난하고 위험할 수 있어, 中 본토는 대만을 가지고 ‘거래’하는 일 없을 것(명B8(歐陽五))
[경제․통상]
ㅇ SC : 홍콩, 재원 확보 위한 방법 많으나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향후 2~3년 간 재정적자 유지 전망(경)
ㅇ 中 증감회, 모건스탠리·골드만삭스·CICC 등 투자은행들에 中 본토 기업의 홍콩증시 상장 절차 가속화 촉구(신)
ㅇ 中 중앙정치국, 내년 경제정책 기조 관련 회의 개최하여 “더욱 적극적인 재정정책·적당히 온건한 통화정책 이행할 것”…14년 만에 통화정책 완화 방향으로 전환(경,신,S)
- 中 중앙경제공작회의, 12.11~12 개최 전망…글로벌 투자은행들, “경기 부양책 규모, 시장 기대치 하회 가능성”
ㅇ 中 11월 CPI 전년 동월대비 0.2% 상승해 연속 3개월 상승세 둔화…11월 PPI 전년 동월대비 2.5% 하락해 26개월 연속 하락세(경,신,S)
ㅇ Asia Society 보고서 : 中, 경제적 디커플링·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내년 경제 하방 압력 강화 불구 中 회복력·적응력 테스트하는 계기(S)
ㅇ 리창 中 총리, 12.9 베이징에서 세계은행·국제통화기금·WTO 등 세계 주요 국제경제기구 고위급 10명과 대화 진행…“中, 보호주의·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속 세계화·다자주의 지킬 것” 강조(S)
ㅇ 中, 美의 對中 반도체 수출규제 불구 中 사업 유지하고 ‘中 맞춤용’ 저사양 반도체 개발한 美 엔비디아에 ‘반독점법 위반’ 혐의로 조사 착수(경,신,S)
(사설 및 칼럼)
ㅇ 현재 中 경제 직면하고 있는 도전 해결에 내수침체·과잉생산 문제 해결은 관건(경A19(楊玉川))
ㅇ 中·베트남, 해역 분쟁 두고 경제·무역·관광 관계 강화 추진(SA4(Ralph Jennings)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