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지미 라이, 126차 공판에서 Mark Simon 통해 美에 제재가 필요한 홍콩 관리 명단 제출 사실 인정…허위 사유로 보석 신청해 美 부통령을 면담했다는 혐의는 부인(다수 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오늘날 ‘중국 홍콩 이야기’를 어떻게 잘 전달할 것인가?…▴‘반박’도 ‘잘 전달’의 중요한 일환, ▴美‧서방과의 연계도 원칙적 마지노선 있어야, ▴신흥시장 소홀히해선 안돼(신A12(屠海鳴))
[중국 정세]
ㅇ 마르코 루비오 美 국무장관, “파나마 운하에서 中 영향력 줄이지 않으면 필요한 조치 취할 것” 경고…물리노 파나마 대통령, “中 일대일로에서 탈퇴할 것”(다수 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마르코 루비오 美 국무장관, 中 매파에서 실용주의로 갈아타나?(SA10(Robert Delaney))
ㅇ ‘아메리카 퍼스트’ 불구 글로벌 현실로 인해 트럼프는 협력할 수밖에 없을 것(SA11(Andrew K.P. Leung))
[경제․통상]
ㅇ 홍콩 작년 GDP 성장률 2.5%로 전년대비 둔화…작년 4분기 GDP 성장률 2.4%로 추산해 예상치 소폭 상회(경,신,S)
ㅇ 홍콩 작년 소매판매액 HK$3,768억으로 전년대비 7.3% 감소(경,신)
- 홍콩 작년 12월 소매판매액 HK$328억으로 전년 동월대비 9.7% 감소해 연속 10개월 감소세
ㅇ Eddie Yue 홍콩금융관리국(HKMA) 총재, “트럼프의 보편관세 조치로 인한 영향으로 홍콩의 금리인하 추세 불확실성 확대…고금리 환경 유지 전망(경,신,S)
ㅇ 中, 관광객 비자 면제 조치 확대 등 요인으로 작년 서비스무역 수출·수입 총액 RMB7.5조로 전년대비 14.4% 증가…역대 최초로 US$1조 수준 초과(경)
ㅇ 기업들, 미중갈등 격화로 공급망 분산화 추진 등 위해 무역금융의 위안화 사용 확대 추세(S)
ㅇ 中, 트럼프의 對中 수입관세 인상 관련 2020년 미중 무역합의 복원 등 협상 방안 검토(경,신,S)
- 골드만삭스 : 中, 진작 조치 강화로 무역갈등 대응 불가피
- UBS : 트럼프의 對中 10% 수입관세 유지 시 中 GDP 0.3%~0.4% 하락 전망
- 모건스탠리 : 트럼프 2.0 관세폭탄의 아시아에 대한 영향, 1.0시기대비 더 커
(사설 및 칼럼)
ㅇ 中의 트럼프 對中 수입관세 관련 대응 전략에 대한 분석(경A12(黃錦輝))
*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SCMP(S) 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