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존 리 행정장관 부부, 2.6 하얼빈 방문해 동계아시안게임 개막식 참석 예정(성)
ㅇ 지미 라이 前 빈과일보 사주, 127차 공판에서 자신이 범죄인 인도 조례 개정안 반대 시위 리더에 속한다는 사실 인정…천쯔화(陳梓華, 법률보조사) 통한 국제 로비 추진은 부인(다수 언론)
[중국 정세]
ㅇ 美 백악관, “트럼프 대통령, 이르면 이번 주 내 시진핑 주석과 통화할 것”(경)
ㅇ 中, 유엔 안보리 회의 순회 의장국으로 이달 고위급 공개 토론회 개최…中 외교부장-美 국무장관 면담 기회 될 가능성(성,신)
ㅇ 쉬쉐위안(徐學淵) 주파나마 中 대사, “美측의 파나마 방문은 파나마 주권 훼손” 비난(경)
ㅇ 인민해방군, 2.4 남중국해 스카보로 숄 상공에서 정기 순찰 시행…필리핀 공군, 동 시기 美와 합동 훈련(다수 언론)
ㅇ 대만, 인민해방군의 동향 파악 위해 美의 E-2D 조기경보기 구매 추진 예정(신)
(사설 및 칼럼)
ㅇ 파나마 운하 힘겨루기…라틴 아메리카는 美 멀리하고 中과 친해질 것(신A2)
[경제․통상]
ㅇ 시티은행, 대외 불확실성·리스크 등 요인으로 홍콩 금년 GDP 성장률 전망치 2.9%→2.5%로 하향 조정(경,신)
- 모건스탠리, 홍콩 금년 소매판매액 전년대비 5% 감소 전망
ㅇ 금년 1월 홍콩 방문객 약 474만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24% 증가해 코로나 이후 최고치(경,신)
ㅇ 파나마, 트럼프의 파나마운하 통제권 회수 압박에 운하 항구 2곳 운영권 가진 홍콩계 CK호치슨홀딩스 자회사와 계약 해지 검토(S)
ㅇ 中, 美의 對中 추가 수입관세 실시 관련 △2.10부터 일부 미국산 제품에 10%~15% 수입관세 부과 △25종 희소금속 제품·기술 對美 수출규제 △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조사 착수 등 보복조치 발표(경,신,S)
- 모건스탠리 : 무역 갈등 격화 시 아시아 시장 테크주 단기 내 20% 급락 가능성
ㅇ EU, 中 테무·쉬인 등 非EU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EU 고객에 직접 배송 상품에 대한 세관 검사 강화 검토(경,신)
(사설 및 칼럼)
ㅇ 美·中 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의 경쟁 및 도전(SA4(Luna Sun))
ㅇ 트럼프 행정부의 중앙은행디지털화폐(CBDC) 금지명령은 탈달러화 추세 가속화하며, 위안화 국제화 추진에 도움 될 듯(SA10(Hugh Harsono))
*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SCMP(S) 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