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홍콩 정부, 英 ‘홍콩 반년(半年)보고서’상 허위발언을 통한 홍콩 비난에 대해 강력 규탄(대,신)
- 中 외교부 주홍콩 특파원공서, 홍콩에 대해 英의 관성적 ‘유죄추정 평가’ 비난
ㅇ 홍콩 내 8개 대학 非현지 학생 비율 40%로 완화 조치 이후 첫해, 홍콩대‧홍콩 과기대 非현지 학생 비율 30%로 증가…홍콩 과가대, 非현지 학생 600명 이상 등록(대,명,경)
ㅇ 세계관광도시연합(WTCF)‧칭다오시 정부 공동 주관 ‘샹산(香山) 관광서밋’, 내년 4월 처음으로 홍콩에서 개최…400개 국가 및 지역 참가 전망(대,성,명)
ㅇ 마카오 행정장관 선거 후보 지명 마감, 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자 자격 확인 예정(대,신,오)
(사설 및 칼럼)
ㅇ 홍콩은 미국의 부당한 억압 받고 있어 독특함 유지하는 데 더 많은 노력 필요(명A2)
ㅇ 미국의 홍콩 억제 법안의 추세와 의도(대A13(黃復觀))
ㅇ 홍콩의 ‘슈퍼 커넥터’ 역할 점점 더 두드러져(대A5)
ㅇ 기회 포착해 홍콩의 ‘슈퍼 커넥터’ 역할 강화해야(대A13(胡劍江))
ㅇ 회원수 반등했지만, 홍콩기자협회의 앞날은 여전히 험난해(신A16(余錦賢 ))
[중국 정세]
ㅇ 시진핑 주석, 9.12(목) 간쑤성(甘肅省) 란저우(蘭州)시에서 황하유역 생태 보호 및 종합 발전 촉진위한 좌담회 주최(대,명)
ㅇ 쟝주린(張祖林) 前 윈난성(雲南省) 副성장, 기율 위반 혐의로 당적 제명 처분(성,신)
ㅇ 리하이타오(李海濤) 前 헤이룽장성(黑龍江省) 정협 副주석, 기율위반 혐의로 쌍개(당적‧공직 박탈) 처분(성,신)
ㅇ 中, 9.12(목) 베이징 개최 샹산 포럼(9.12~14) 개막(다수 언론)
- 로이터통신 : 샹산포럼 개막식 참석한 찰리 前 우크라이나 외무차관, “시진핑 中 주석, 10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날 수도”
ㅇ 파이낸셜타임스(FT) : 우야난(吳亞男) 中군 남부전구 사령관, 다음 주 美 인도태평양 사령부(하와이)에서 새뮤얼 파파로 美 인도태평양 사령관 주최 방위회의 참석 예정(명,경,신)
ㅇ 파이낸셜타임스(FT) : 美 해군 비밀특공대 씰 6팀(빈 라덴 사살 美 특수부대), 中의 대만 침공 대비 훈련(성,신)
ㅇ 張漢暉(장한후이) 주러시아 중국대사, 러시아에서 中이 시베리아·극동 지역 인수해 관리할 것이라는 주장 제기 관련 소문 반박(경)
ㅇ 천샤오둥(陳曉東) 외교부 副부장(차관), 9.11(수) 베이징에서 테레사 라자로 필리핀 외교차관과 남중국해 문제 양자 협상 메커니즘 회의 참석(성,신,S)
(사설 및 칼럼)
ㅇ 미국은 중국을 이길 수도 고립시킬 수도 없어(대A13(周八駿))
ㅇ 우크라이나 전쟁은 격화되기 직전이며, 중국이 평화를 설득하기 어려워 질 것(신A2)
ㅇ 중국·러시아, 안보 문제에 대해 협력 지속하는 가운데 중국은 서방의 비공식적인 ‘레드 라인’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어(SA11(Nikola Mikovic))
[경제․통상]
ㅇ 홍콩 금년 2분기 산업생산지수·PPI 각각 전년 동기대비 0.7%·3% 상승(경)
ㅇ 中 개인투자자들, 자국의 장기적 저금리 환경·최근 위안화 가치 변동 등 요인으로 자금 홍콩으로 이전 추세(S)
ㅇ 中, 금융업 반부패 강화…감독당국, 중국계 투자은행 고위급에 여권 제출하여 출장·개인 여행 계획 사전 신청 요구說(경,신)
ㅇ 中 국제무역서비스박람회, 9.12(목)~16(월) 베이징에서 개최…시진핑 주석, 축하서한에서 中의 높은 수준 개방 확대로 고품질 발전 추진 촉구(경)
ㅇ 中 국무원, 보험업 리스트 관리 강화 위한 10대 조치 발표…보험사 신설 관련 심사 강화 등 포함(S)
ㅇ 中 전기차 제조사들, EU의 對中 전기차 추가관세 속 유럽에서 공장 개설 추세…中 상무부, 전기차 첨단 제조기술 유출 방지 위해 제조사들에 “주요 부품 국내에서 생산” 지시(경,신,S)
ㅇ 주중 美상공회의소(상하이) 조사 : 지정학적 긴장 고조·中 경기침체 등 요인으로 향후 5년 中 비즈니스 운영에 긍정적 전망 보유 회원기업 47% 불과로, 전년대비 5% 감소해 역대 최저치(경,S)
ㅇ 국제통화기금(IMF) 보고서 : 中이 자국 제조업에 대한 보조금·산업정책, 무역흑자 증가에 영향 미미…美 등 서방국가의 中 관련 과잉생산 지적 반발(S)
ㅇ 중동 방문 중인 리창 中 총리, 9.11(수) 사우디 왕세자와 회담…“양국 에너지·인프라·디지털경제 등 분야 협력 강화 희망”(S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