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·마카오 관련]
ㅇ 존 리 행정장관, 생산력촉진국(HKPC) 방문해 <시정보고> 관련 여론 청취…신품질 생산력 추진·기존산업의 업그레이드 및 전환 지원 등 강조(다수언론)
ㅇ 존 리 행정장관, 우방궈(吳邦國) 前 中 인민대 상무위원장 별세에 애도 표명(10대,신)
ㅇ 英 타임즈고등교육(THE) 2025년 세계대학순위 발표…홍콩대·중문대·과기대 등 5개 홍콩 대학교 100위권진입(다수언론)
- Christine Choi(蔡若蓮) 교육국 국장, “中 중앙정부의 지지 하, 향후 10년은 홍콩 고등교육 적극 추진하는 황금시대 될 것”
ㅇ 홍콩 관광업계, “노동력 부족 등 문제로 홍콩 정부의 금년 460만명 방문객 목표치 달성 어려울 것”(10S)
ㅇ Andrew Cheung(張舉能) 홍콩 최고항소법원장, 아태지역 수석판사 회의 참석 위해 금일(10.10) 말레이시아 방문(10성,신)
ㅇ 中 광둥성, 10.9(수) 홍콩·마카오 의약산업의 대만구 진출 위한 38개 조치 발표(다수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中 중앙정부, CEPA(포괄적경제파트너십) 새로운 협정 지지…홍콩, 주동적으로 개방 추진할 필요(10대A12(卓銘))
[중국 관련]
ㅇ 시진핑 주석, 中 적십자 제12회 전국회원대표대회에 서한, “공신력 강화하고 인도적 서비스 향상해야”(10대)
ㅇ 우방궈(吳邦國) 前 中 인민대 상무위원장 84세 나이로 별세(다수언론)
ㅇ 리창(李强) 총리, 동아시아협력지도자회의 참석 위해 라오스 방문…“아세안이 국제 이슈에 대해 더욱 큰 역할 할 수 있도록 지지”(10대,S)
ㅇ 왕이(王疑) 외교부장, 이와야 日 외무대신과 통화…“中·日 관계 새로운 발전 기대”(10대,신)
ㅇ 해리스 美 대통령 후보자 CBS 인터뷰에서 中에 대한 발언 거의 없어(9S)
ㅇ 데이비드 레미 英 외무장관, 내주 방중 예정(10성,명,경)
ㅇ 中 국가안전부, “美 간첩 조작 사건, 中 과학자들에 피해” 비난(9명,경)
ㅇ 中 해군 랴오닝함·산둥함 원양 훈련 마친 후 하이난에 입항…전문가들, 두 개 항모 합동 훈련 가능성(10명)
ㅇ 전문가들 : 필리핀, 남중국해 문제에 있어 베트남의 지지를 원하나, 베트남은 中과의 대립 고려하여 신중하게 대응할 전망(10S)
ㅇ 中 국가안전부, 파키스탄 테러 이후 테러방지 및 정보공유 강화 목표(9S;10S)
- 中 국방부, 파키스탄 테러 이후 “당국 여행 주의 요망”
ㅇ 中 국방부, 美의 대만 독립 지원 및 대만 무장 중단 촉구(10대,경)
ㅇ 대만 싱크탱크 여론조사 응답자 70% 이상 “참전 의향 있어”…美 군사지원 통한 中 본토 대응에 대한 대만인들의 신뢰 부족 드러내(10명,신)
ㅇ 라이칭더 대만 총통, 금일(10.10) 쌍십절(대만 국경절) 연설에서 대만 독립 입장 지속 표명 전망(다수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中·美 간 첨단기술 경쟁은 美 대선 이후에도 계속될 것(10SA4)
ㅇ 대만 민진당 ‘스톡홀롬 증후군’ 우려…美 방위산업기업의 고의적 對대만 무기 판매 가격 상승 불구, 대만은 美도 피해자라고 두둔(10대A18(朱穗怡))
[경제․통상]
ㅇ 홍콩증시 항셍지수(HSI), 中 발개위 10.8(화) 기자회견 내용의 기대치 하회로 9.4%(2,172p) 하락한 20,926p로 마감해 2008년來 최대 하락폭 불구 거래액 HK$6,204억으로 역대 최고치(다수 언론)
- 글로벌 대형 증권사·은행들, 中 부양책 효과로 인한 中·홍콩 증시 과열 리스크 경시
- 中 상하이·선전 증시, 부양책 효과로 연속 10일 상승한 후 10.9(수) 각각 6.6%·8.2% 하락해 4년반來 최대 하락폭
ㅇ 홍콩대(HKU), 홍콩 금년 GDP 성장률 전망치 2.3%→2.6%로 상향 조정(10신)
ㅇ 홍콩 시립대(CityU) : 금년 3분기 홍콩소비자심리지수 78.3로 전년 동기대비 9.8% 하락…증시투자·경제발전·취업 등 분야 관련 심리 하락세(9신)
ㅇ John Lee 행정장관, 10.8(화) 신보 주최 ‘웨강아오대만구서밋포럼’ 참석…“中과 교차거래 조치 지속 개선해 대만구 금융시장의 융합 추진할 것”(9경,신)
ㅇ 中·홍콩, 10.9(수) 포괄적경제파트너십(CEPA) 서비스무역협정 2차 수정협의 체결…내년 3월 실시 예정(10경,신,S)
- 건설·금융·관광 등 분야의 홍콩기업 대상 中 본토 시장 진입 규제 완화 등 조치 포함
ㅇ 中 발개위, 10.8(화) 양적완화 정책 소개 기자회견 개최…내년도에 집행될 RMB2,000억 규모 예산 금년 내 조기 집행할 것(9신,S)
- 애널리스트 : 中, 더 많은 경기 부양책 발표 전망 불구 대규모 재정 조치 제한적
ㅇ 中 재정부, 발개위 이어 10.12(토) 기자회견 개최 예정…RMB2조 규모 경기 부양책 발표 전망(10경,신,S)
ㅇ 中, EU의 對中 전기차 추가 관세 통과 후 10.11(금)부터 EU산 와인(브란디)에 30.6%~39% 반덤핑 보증금 부과 예정…EU산 고배기량 자동차에 대한 관세도 검토 중(다수 언론)
- EU, 中의 EU산 와인(브란디)에 대한 임시 반덤핑 조치 관련 WTO에 제소
ㅇ 왕원타오 中 상무부장·러몬도 美 상무장관, 10.8(화) 통화…美의 對中 반도체·커넥티드카 정책 등 논의(9경)
(사설 및 칼럼)
ㅇ 부동산 및 지방정부 재정은 中 경기 회복의 관건(9신A17(方舟))
ㅇ John Lee 행정장관, 홍콩 경기 회복 추진하려면 금년 <시정보고>(10.16 발표)에서 신흥시장 지출·경제 다양화 발전·홍콩 유치력 강조 등 조치 포함 필요(9SA4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