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APEC 정상회의 참석차 페루 방문해 11.15 홍콩‧페루 자유무역협정 체결한 존 리 행정장관, 과일시장 방문…작년 페루 수입물은 채소 및 과일 위주(대,성)
ㅇ 홍콩 민주파 예비선거 사건, 금일 형량 판결 예정…전문가들 : 공정한 판결 내릴 것 믿어(대,명,S)
ㅇ 홍콩 정부, 유엔에 지미 라이가 불법적으로 구금되었다 성명 발표한 지미 라이 국제 변호팀 고발…홍콩 정부, “사실을 왜곡하고 있어”(S)
ㅇ Yeung Ho Poi-yan 홍콩 공무원 사무국장, “공무원 공석을 채우지 않은 이유 비용 절약 아닌 지원자 조건 불충족 때문”…의원들, 홍콩 정부에 더 많은 장애인들 공무원으로 채용할 것 촉구(경,신,S)
ㅇ 인민해방군 최초의 범선훈련함 ‘파랑(破浪)’ 홍콩 정박…초청 시민들 관람 위해 3일간 개방 예정(대,성,명)
ㅇ 우신보(吳心伯) 푸단대 국제문제연구원장, “트럼프, ‘홍콩 카드’ 계속 이어나갈 가능성 있어”(대)
ㅇ 호얏셍 마카오 행정장관, 11.19 2024 회계연도 마카오 정부 업무 총화(결산) 및 2025 회계연도 재정예산 설명 예정(오)
- Sam Hou Fai(岑浩輝) 마카오 행정장관 당선인, 내년 부임후 마카오 정부 2025 회계연도의 구체적인 시정 계획 발표 전망
(사설 및 칼럼)
ㅇ 양두구육의 지미 라이 국제변호팀(대A10(范理雲))
ㅇ 시대의 기회를 잡아 해상운송의 우세를 높여야(대A2)
ㅇ 홍콩‧페루, 협력 강화 통해 항로의 우위를 공고히 해(대A2)
[중국 관련]
ㅇ 시진핑 주석, G20 정상회의 참석해 中의 글로벌 발전 지지의 8가지 행동 발표하고 각국 대표와 회담 가져(다수 언론)
- 스타머 英 총리 만나…“양국 정치적 상호신뢰 증진해야” 강조
- 알바니스 호주 총리 만나…“상생협력구도 확장해야”
- 시진핑 주석, 우크라이나 이슈와 같은 국제 이슈 관련해 브라질과 공통된 입장 강조
ㅇ G20 정상회의, 기후변화 재정 지원에 돌파구 기대되나 온실가스 감축 논의는 무산될 것으로 보여(명,경)
ㅇ 허리펑 中 국무원 부총리, 11.17 광저우‧선전 항구 조사연구…“항구의 질 높은 발전 추진”(다수 언론)
ㅇ 류싱타이(劉星泰) 前 하이난성 부성장, 불법 행동‧뇌물수수 등 혐의로 당적‧공직 제명(성)
ㅇ 전문가들 : 中, 트럼프와 고통스러운 협력을 하고, 어렵고 고된 거래에 대해 대비해야(S)
ㅇ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에 남중국해 이슈 관련 中‧美 분쟁 있을 가능성…분석가‧前 인민해방군 군인, “中은 대비 되어있어”(S)
ㅇ 美‧필리핀, 11.18 기밀 군사 정보‧기술 공유 합의…中, “지역 긴장 고조시키지 말 것”(경)
ㅇ 우신보(吳心伯) 푸단대 국제문제연구원장, 中‧美 관계 3가지 시나리오 예상 △양국 교역 협의의 이상적 상황 △무역 등에서 갈등 있되 군사적 충돌 피하는 상황 △대만‧남중국해 관련 군사적 충돌의 최악의 상황(대,명)
ㅇ 유럽연합, 中 신장에서 생산한 군용 드론 러시아에 공급 증거 확보…中 외교부 “사실무근이며 中은 군수품 수출 관련해 신중한 태도 보여와…근거 없이 모독하지 말길”(경)
ㅇ 中-러시아 가스 파이프라인 완공…올해 말부터 상하이 주택에 공급 전망(S)
ㅇ 대만 국방부, 내년에 美 무기에 NT 706억(대만 달러) 사용 예정(S)
ㅇ 쑹타오(宋濤) 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주임, 11.18 푸젠성에서 왕진핑(王金平) 前 대만 입법원장 만나…“대만 독립을 단호히 반대하고 당당한 중국인이 될 민족의 자신감 키워야”(대)
(사설 및 칼럼)
ㅇ 美가 인도와 관계 발전 시도…中은 고립될 위험성(SA4(Khushboo Razdan & Laura Zhou))
ㅇ 中‧美 사이 ‘4대 레드라인’은 효과 있을 것인가?(성A13(紀曉華))
[경제․통상]
ㅇ 모건스탠리, 中 증시 내년 변동성 확대 등 요인으로 홍콩증시 항셍지수(HSI) 내년 연말 기준 전망치 19,400p로 하향 조정…골드만삭스도 부동산 시장·소매업 부진 등 요인으로 홍콩증시에 대한 투자의견 중립→비중축소로 하향 조정(경,신)
ㅇ 홍콩거래소(HKEX), 11.18 ‘中·홍콩 증시 교차거래(후선강통) 개통 10주년’ 서밋 개최…리밍 中 증감회 副주석, “홍콩과 협력 조치 적극 실시하며, 中 기업의 해외상장 감독제도 개선 추진할 것”(경,신,S)
ㅇ 홍콩 10월 실업률 3.1%로 전월대비 0.1% 소폭 상승(경,신)
- 호주 구인구직 사이트 SEEK 조사 : 홍콩인 내년 평균 임금 인상률 1.8% 전망
ㅇ 홍콩해운위크(Hong Kong Maritime Week)·세계해운사포럼, 11.18 개막…정옌슝(鄭雁雄) 중련판 주임, “해운사들, 홍콩의 일국양제 우위·혁신개혁의 추세 등 파악해 홍콩의 국제항운센터 지위 강화” 촉구(경,신)
ㅇ 홍콩 제3회 국제금융투자서밋, 11.18 개막…금번 서밋에서 中 중앙정부 경기 부양책·트럼프 재당선 등 핫이슈 될 듯(S)
ㅇ 美 반도체 제조사 엔비디아 장기적 협력사인 홍콩 그래픽카드 제조사 PC Partner, 미중 기술갈등 속 美 제재 가능성 피하기 위해 헤드쿼터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이전(신,S)
ㅇ 모건스탠리 <2025 中 증시 전망 보고서> : 美의 對中 수입관세 추가 부과시 대외수출은 中 경제의 엔진에서 부담으로 될 것(경,신)
- 中 내년 GDP 성장률 4%·美달러당 中 위안화 환율 7.6대로 절하 등 전망
- 中 증시에 대한 투자의견 중립→비중축소로 하향 조정
ㅇ 韓 4대 엔터테인먼트 기획사, 금년 주가 모두 2자릿수 하락세…K-pop 산업 침체 시사(신)
(사설 및 칼럼)
ㅇ 글로벌 경제 파편화 속 홍콩의 커넥터 역할 더욱 중요해질 것(신A2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