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년 11월 8일
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샤바오룽 홍콩‧마카오판공실 주임, 11.8 선전 방문해 홍콩 정‧재계 인사 면담…애국애항 정신 행동으로 이행 희망(성,신)
ㅇ 애널리스트 : 트럼프, 中과 협상 시 주미 홍콩경제무역사무소(HKETO) 폐쇄 카드 사용 가능성(S)
ㅇ Bernard Chan(陳智思) 前 행정회의 의장, 홍콩-美 관계 긴장 상태 지속될 것으로 전망(신)
ㅇ 중미교류기금회, 11.15-16 홍콩에서 ‘홍콩 중미 포럼’ 개최 예정(대,성,경)
(사설 및 칼럼)
ㅇ 존 리 행정장관, 샤바오룽 주임과의 면담 앞두고 재계에 ‘공동 책임’으로 개혁 달성 메시지 전달(명A14(李先知))
ㅇ 홍콩은 새로운 도전 대응할 충분한 저력 있어(대A10(卓銘))
ㅇ 트럼프 취임 후 美의 對홍콩 정책 분석(대A10(黃復觀))
ㅇ 트럼프의 강력한 복귀, 중국과 홍콩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(경A7(傅流螢))
[중국 정세]
ㅇ 시진핑 주석, 트럼프 당선 축하 통화…상생협력 확대 희망(다수 언론)
- 中, 트럼프의 2016 첫 임기와 달리 이번엔 선거 결과 전부터 정책 전략 및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준비되어 있어
- 중국계 미국인 과학자들, 트럼프 임기 동안 자신들이 학계 및 과학 발전에 헌신한 점 인정받을 것이란 기대가 있어
ㅇ 리커신(李克新) 前 주미공사, 중앙외판 부주임 임명 전망(성)
ㅇ 분석가들 : 트럼프, 남중국해에서 중국과의 대립 대응 위해 필리핀과의 안보 협력 유지할 것으로 보여(S)
ㅇ 프라보보 인도네시아 대통령, 금일 베이징 방문…분석가들 : 남중국해 논쟁이 주요 안건인 경제 협력 의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전망(S)
ㅇ 베트남, 말레이시아의 남중국해 이슈에 대한 항의에도 묵묵부답…분석가들 : 베트남의 무응답은 中과의 양자 간 협력을 위태롭게 하고 싶지 않다는 신호(S)
ㅇ 中-솔로몬제도, 상호 비자 면제 협정 서명(대)
ㅇ 리창 총리, 11.7 쿤밍에서 제8차 메콩 경제 협력 지도자 회의 참석…中, 메콩강 5개국에 상용비자인 ‘란메이 비자’ 발급할 것(대)
(사설 및 칼럼)
ㅇ 트럼프 당선이 中에 파괴적인 영향 미치지는 않을 것(명B12(王文))
ㅇ 美 관세 부과하면 오히려 자신을 해칠 수도(대A6(李信))
ㅇ 反中 전략은 美의 민주주의적 손해 더할 것(SA12(Angela Huyue Zhang))
ㅇ 트럼프의 보호비 요구로 군비경쟁 심화 추세(신A2)
ㅇ 중미 3T(무역, 과기, 대만) 전쟁, 중국 대항에 자신감 갖고 있어(경A4)
ㅇ 대만 해방은 단지 비용 문제일 뿐(신A17(藍鴻震))
[경제․통상]
ㅇ 홍콩증시 항셍지수, 中 전인대 상무위의 경기 부양책 발표 앞두고 11.7 4.4%(414p) 상승한 20,953p로 마감(경,신)
ㅇ SC·홍콩생산력촉진국(HKPC), 금년 4분기 중소기업운영지수 45.7로 전분기 대비 3.2 상승(경)
ㅇ 中 금년 10월 수출액 US$3,090.6억으로 전년 동월대비 12.7% 증가해 2년來 최대 증가폭…中 수출상들, 내년 무역갈등 격화 대비로 금년 내 수출 지속 증가 전망(경,신,S)
- 中 금년 10월 수입액 US$2,133.4억으로 전년 동월대비 2.3% 감소해 예상치 하회…내수 지속 약세 시사
ㅇ 中 10월 외환보유고 US$3.26조로 전월대비 US$553억 감소…美달러 강세 요인(경,신)
ㅇ 中 인민은행, 높은 수준의 대외개방 추진 위해 11.6 외자 금융기관들과 좌담회 개최…HSBC·SC·모건스탠리 등 참석(경,신)
ㅇ 포브스, 2024년 中 100대 부자 순위 발표…생수업체 농푸산취안(農夫山泉) 회장 중산산, US$508억 자산으로 1위 유지(경,신)
ㅇ 글로벌 주요은행들, 트럼프 재당선 관련 “美의 對中 60% 관세 부과시 中 GDP 성장률 0.5%~2% 감소하고 美달러 당 위안화 환율 7.7대로 절하 전망”(경,신)
- 中 상무부, “美와 소통 강화하여 분쟁 해결 희망”
- 미중교류재단(CUSEF), 트럼프의 對中 60% 관세 실시 여부 관련 “변동성 상존”(경)
ㅇ 캐나다, 국가안보 위험 이유로 中 바이트댄스 산하 틱톡의 캐나다 사업부 폐쇄 명령(경,신)
ㅇ 韓 삼성전자·SK하이닉스, 상하이 개최 제7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(CIIE) 참여…中의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대규모 수요 시사(S)
(사설 및 칼럼)
ㅇ 홍콩 기업들, 트럼프 재당선 관련 큰 도전 직면할 것(신A16(梁兆基))
ㅇ “對中 60% 관세 부과” 선언은 트럼프의 中과 협상 위한 ‘벼랑끝 전략’(경A17(范强)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
2024년 11월 9~11일
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샤바오룽 홍콩‧마카오판공실 주임, 11.8 선전에서 존 리 행정장관‧정옌슝 중련판 주임‧홍콩 정부 주요 관리 10명 및 비즈니스계 대표 29인과 면담…홍콩 기반의 사업개발 촉구(다수 언론)
ㅇ 폴 람 율정사 사장, “美, 홍콩과의 관계 개선 원한다면 누구도 사법 판결 간섭해선 안돼“…과거 트럼프의 지미 라이 석방 요구 관련 “사법 간섭 말라”(다수 언론)
ㅇ 폴 람 율정사 사장, 배심원 제도 개혁 요구 관련 “배심원 제도 유지 필요성”(11명,경,신)
ㅇ 레지나 입 행정회의 의장, 美에 소통 늘릴 것 요구…내년 워싱턴 방문 예정(9-10경,신)
ㅇ 치빈(祁斌) 중국투자공사(CIC) 부사장, 주홍콩 중련판 부주임으로 임명돼(11S)
(사설 및 칼럼)
ㅇ 샤바오룽 주임의 발언은 홍콩 비즈니스계에 방향 제시(11대A12(劉逸群))
ㅇ 샤바오룽 주임은 홍콩 비즈니스계가 강력한 장점으로 변혁 추구하기를 희망(9대A6(屠海鳴))
ㅇ 홍콩 비즈니스계는 애국애항 열정을 실질적 행동으로 전환해야(9대A11(梅若林))
ㅇ 홍콩 기업은 실질적 행동으로 애국애항하고, 상호 이익과 윈윈 위해 장점 발휘해야(9-10신)
ㅇ 미국의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홍콩은 미래에 대한 위험 대비해야(11명B7(張炳良))
[중국 관련]
ㅇ 류웨이 교통부 당서기, 리펑 전 총리 아들 리샤오펑 후임으로 교통부장 임명(9명)
ㅇ ‘反美 투사’ 쓰마난(司馬南), 1년간 발언 금지령 받은 듯…11.6부터 SNS 글 게재 중단돼(10성)
ㅇ 中, 11.12 주하이 에어쇼에서 대형 드론 선박 ‘킬러 웨일’ 및 초대형 스텔스 무인기 차이홍-7, J-20, 홍치-9BE, AKF98A 등 공개 예정(다수 언론)
- J-35A, 11.8 상공에 처음 모습 드러내 적응 훈련 실시
ㅇ 시진핑 주석, 내주 APEC 및 G20 회의 위해 남미 방문…페루 방문 시 바이든 대통령 만날 예정(다수 언론)
- 전문가 : 두 지도자들, 美 정권 교체 시기에 안정 유지 및 우발적 상황 피하는 것에 중점 둘 것
- 中 외교부, “아시아태평양 협력, 개방형 세계 경제 구축”
ㅇ 셰펑 주미 중국대사, 11.7 “중미 협력으로 좋은 일 많이 할 수 있어”(9대,명)
ㅇ 中‧美 군사 관료들, 11.6-8 칭다오에서 회의 갖고 오판 위험 최소화 합의(11신;10S)
ㅇ 美, 中 첨단기술 발전에 대한 국가안보 우려하며 5개 반도체 기업들에 中내 판매량 및 고객에 대한 자세한 정보 요청(10S)
ㅇ 필리핀, 남중국해 주권 분쟁 관련 법안 2개 서명…中 외교부, 11.10 남중국해 황옌다오 영해 기준점 설정으로 반격(다수 언론)
ㅇ 시진핑 주석, 11.10 인도네시아 대통령 만나 5개 주요 협력 계약 체결…운명공동체 공동 건설 촉구(11신;10명)
ㅇ 시진핑 주석, 방중 세르지오 마타렐라 이탈리아 대통령 면담…상호 신뢰 재건 강조, 유럽과 협력 강화 희망(10대,S;9-10신)
ㅇ 푸틴, 11.7 ”중러 협력 심화는 제3국 겨냥하지 않아“(9경)
ㅇ 英 정부, 11.7 러시아 군수산업 지원 이유로 中 기업 10곳 제재…中, ”국제법 위반이자 기업의 권익 손상시켜“(10대)
ㅇ 美 CNN : 트럼프, 취임 전 정권교체 시기에 라이칭더 총통과 통화 가능성…대만측, ”축하 메시지만 전달, 통화 일정 잡지는 않아“(11성,경)
(사설 및 칼럼)
ㅇ 트럼프의 귀환에 대응하기 위해 中은 中만의 ‘마셜 플랜’으로 대비해야(11SA6(Frank Chen))
ㅇ 거래를 중시하는 트럼프는 임기 동안 中‧美 관계를 호전시킬 수 있어(9SA14(Wang Huiyao))
ㅇ 중‧미 박빙의 승부…협력하지 않으면 함께 공멸(9-10신A11(李成))
ㅇ 중미, 협력하면 양자에 이익이고 투쟁하면 둘 다 피해(9대A11())
ㅇ 트럼프 당선으로 전쟁위험은 줄고 국제분쟁은 증가(10성A3)
ㅇ 트럼프는 실리 중시, 대만은 ATM기로 전락 가능성(10명A2)
ㅇ 트럼프는 과연 라이칭더 대만 총통의 전화를 받을 것인가?(11명B8(林泉忠))
[경제․통상]
ㅇ Paul Chan 재정사 사장 : 홍콩 1~3분기 GDP 성장률 총 2.6%, 금년 GDP 성장률 약 2.5%~3.5% 전망(11경,신,S)
ㅇ 홍콩 시중은행들, 11.11 美 따라 대출우대금리(P) 0.25%p 인하…금년 내 추가 인하 없을 듯(9-10경,신;9S)
ㅇ 홍콩증시 항셍지수(HSI), 中 전인대 상무위 발표한 경기 부양책의 기대치 하회로 11.8 1.07%(225p) 하락한 20,728p로 마(9-10신)
ㅇ USD-HKD 페그제 설계자인 John Greenwood, “트럼프, 대통령 재당선 불구 美 국익 고려하여 페그제 건드리지 않을 것”(11신)
ㅇ 소로스 펀드 매니지먼트, 홍콩 사무소 폐쇄 계획(9-10경,신)
ㅇ 中 전인대 상무위 회의 11.8 폐막, RMB10조 규모 지방정부 부채 문제 완화책 발표…향후 3년간 지방정부 부채 한도 총 RMB 6조 증액·향후 5년간 지방정부 음성부채 대환에 총 RMB4조 투입 예정(다수 언론)
- 시장 예상 소비 진작 조치 등 無…12월 개최할 중앙경제공작회의 후 부양책 추가 발표 가능성
- 이코노미스트 : 中, 美 금리인하로 향후 더욱 강력한 경기 부양책 실시 공간 보여
ㅇ 이코노미스트 : 中, 트럼프의 對中 60% 수입관세 공언 등 부정적 요인 불구 내년 GDP 성장률 목표치 약 5%로 설정 전망(9S)
ㅇ 中 10월 CPI 전년 동월대비 0.3% 상승했으나 상승세 둔화·PPI 전년 동월대비 2.9% 하락…모든 예상치 하회(11신;10S)
ㅇ 제7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(CIIE) 11.10 폐막…금년 거래액 총 US$800.1억으로 전년대비 2% 증가(11경,신,S)
- 상하이 美상공회의소 : 美 기업 31곳, 미중 무역갈등 불구 금년 CIIE에서 中 기업과 거래액 총 US$7.11억으로 전년대비 41% 증가
ㅇ S&P : 트럼프, 美 경제 타격·인플레이션 인상 등 요인으로 對中 60% 수입관세 공언 실시하기 어려울 것(9-10신)
ㅇ 中 상무부 : 中·EU, 11.2~7 베이징에서 對中 전기차 관세 관련 협상 5차례 진행하여 진전 취득(다수 언론)
- 주중 EU대사, “EU, 中과 무역전쟁 희망하지 않으나 지난 5년 간 협상에 진전 없어”
- 中 전기차 업체들, 美·EU와 갈들 속 이집트 등 아프리카 국가 진출 계획(11S)
ㅇ 대만 반도체 제조사 TSMC, 11.11부터 美 요구 따라 中에 첨단 AI반도체 공급 중단說(다수 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中, 美의 심각해진 부채 리스크·달러 무기화 속 외환보유고의 안전한 투자처(Safe Havens) 모색(10SA4)
ㅇ 아시아 국가들, 개방무역 추진하는 데 내수 강화 제안하는 국제통화기금(IMF)에 의지해서는 안돼(10SA15(Anthony Rowley)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