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콩‧마카오 정세]
ㅇ 주홍콩 중련판, 1.17 신년 리셉션 개최…정옌슝 중련판 주임‧존 리 행정장관 축사(다수 언론)
- 정옌슝, “홍콩은 국가에 융합되는 것인 출구”
- 존 리, “홍콩이 변모해 대내외 연계 강화하기를 희망”
ㅇ 지미 라이 前 빈과일보 사주, 120차 공판에서 美 전직 군 고위관리 2명 대만 방문 초청 위해 HK$1490만 지불 및 차이잉원 前 대만 총통에 자문자금 지원 등 사실 인정(다수 언론)
ㅇ 홍콩 정부, (인신매매 보이스피싱 단체 납치 사건 빈발 고려) 미얀마 동남부 여행경보 적색으로 업그레이드(다수 언론)
ㅇ 샤바오룽(夏寶龍) 中 홍콩‧마카오판공실 주임, 1.17 베이징 방문한 Cheong Weng Chon 마카오 행정사무사 사장 대표단 접견(18대,오)
(사설 및 칼럼)
ㅇ 주동적으로 행동해 국가의 새로운 대외 개방 기회를 포착해야(20대A13(李環))
ㅇ 현대 ‘인신매매’ 근절 위해서는 법에 의존하고 국경 간 협력에도 의존해야(20신A2)
[중국 정세]
ㅇ 시진핑 주석, 트럼프와 전화 통화…“새로운 임기에 美‧中 관계 좋은 출발을 하기를 바라”(다수 언론)
ㅇ 장티엔펑(張天峰) 前 국가담배전매국 부국장, 심각한 기율 위반으로 조사받아(18-19신;18성)
ㅇ 위젠펑(余劍鋒) 中 핵공업그룹 당서기 겸 이사장, 반부패 회의 불참(19성)
ㅇ 中 항공공업그룹 총경리 하오자오핑(郝照平, 미사일 전문가)‧부총경리 양웨이(楊偉, J-20 총설계자) 해임돼(다수 언론)
ㅇ 中 과학자들, “극초음속 공대공 미사일 극한 내열성 테스트 거쳐”…美 군용기에 전례없는 위협 가할 수 있는 숨겨진 무기의 첫 확인 사례(20S)
ㅇ WSJ : 트럼프, “취임 후 100일 내 방중하여 시진핑과 美‧中 관계 심화 논의 원해”(20성,경,신)
ㅇ 프랭크 켄달 美 공군장관, “中에게 뒤처지지 않도록 수십 년 된 F-22 전투기 대체할 NGAD 설계 및 생산 추진 여부 또는 F-35 후속 전투기 제작 여부 결정해야”(19S)
ㅇ 中 해군‧공군, 1.17-1.18 남중국해 해역 순찰 진행…2025년 첫 순찰(20S;19대)
ㅇ 에토 타쿠 日 농수산상, 방중해 1.17 한쥔 中 농업부 장관과 회담 후 日 수산물 금지 해제 요청(19S)
ㅇ 中 학자 2명 1.5-1.10 대만 방문해 싱크탱크 2곳 방문 관련 양안 정부 관계자들의 비공식 교류 개방 추측 돌아…일부 분석가들은 회의적(19S)
ㅇ 中, 1.17 “양안 교류 정상화 위해 조만간 푸젠성·상하이 주민 대상 대만 단체 여행 재개할 것”(다수 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트럼프 복귀는 남중국해 전환점이 될 수도…트럼프, 남중국해를 中과의 협상 도구로 사용할 가능성(20SA13(Sophie Wushuang))
ㅇ 中의 압박을 받는 대만‧필리핀, 美에 의존하기 보다는 트럼프의 협상에 어필해야(19SA4(Mark Magnier))
ㅇ 트럼프, 中과 협상을 위해 주도적으로 대만 이용할 가능성 낮아(20SA4(Dewey Sim))
ㅇ 3개의 변수가 트럼프 2.0 시대의 미중관계 재편시킬 가능성 있어…▴中경제 성장 속도 둔화 ▴트럼프와 머스크의 상호 작용 ▴그린란드와 글로벌 새로운 프레임(20명B7(劉寧榮))
[경제․통상]
ㅇ Paul Chan 재정사 사장, 재정적자 대응 관련 “지정학적 불확실성 등 요인 속 현재는 과세표준 높일 적당한 시점 아니다…투자 유치·경제 발전 추진 등에 주력할 것”(18-19경,신)
- Paul Chan, 1.20~24 다보스포럼 참석차 스위스 방문 예정…홍콩 홍보 계획(20경,신,S)
- Paul Chan, 지난 주 개최 아시아금융포럼(AFF) 마무리 관련 “美·유럽 금융기관들, 홍콩 사업 확대 계획 실시 중”
ㅇ 금년 첫 3주, 시가총액 RMB6,600억 이상 총 6개 中 상장기업 홍콩증시 상장 신청…中 상장기업의 홍콩증시 상장 가속화(20경,신;18-19경)
- UBS, 금년 총 30여개 中 상장기업 홍콩증시 상장 추진 전망
ㅇ 작년 홍콩 등록 기업 총 146만개로 전년대비 순성장률 2.1% 불구 기업·개인 도산 신청 모두 2010년來 최고치 돌파(18-19경,신;18S)
ㅇ 홍콩 관광업계, 금년 춘절 기간 홍콩 방문 中 본토 관광객 약 145만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5% 증가 전망(19S)
- 작년 홍콩 방문 中 본토 관광객 총 3,400만명으로 전년대비 27% 증가
ㅇ 中, 작년 GDP RMB134.9조로 전년대비 5% 성장해 목표치 달성…금년 내수 확대·소비 촉진 등에 주력 전망(18-19경,신,S;18S)
- 中 작년 4분기 GDP 성장률 5.4%로 1년반來 최고치
- 국제통화기금(IMF), 中 금년 GDP 성장률 전망치 4.6%로 상향조정
- 리창 中 총리, 국무원 회의에서 경제 발전 관련 “외부 불확실성 속 일자리 창출·외국인 투자 유치 등에 주력할 것” 강조
ㅇ 中, 윈난성에서 115만t 희토류 매장지 발견…中의 글로벌 희토류 자원에 있는 전략적 우위 공고화 전망(18-19신;18S)
ㅇ 대만, 미중 무역갈등·中 내수 부진 등 요인으로 작년 對中·홍콩 수출 비중 31.7%로 2020년 대비 12.2% 대폭 감소(18-19신)
ㅇ 트럼프 부임 이후의 무역갈등 가능성으로 금년 상반기 美달러당 中위안화 환율 7.5대로 절하 우려(20신)
ㅇ 세계은행(WB) 보고서 : 트럼프의 보편관세 실시로 인한 글로벌 무역전쟁 발생 시 금년 세계 GDP 성장률 0.3% 하락 전망(20신;18-19경,신)
ㅇ 美 USTR, 1.17 “中, 불공정한 정책·관행 활용해 글로벌 해운·물류·조선 산업 장악” 조사 결과 보고서 발표…中 강력 반발(18-19경,신;18S)
ㅇ Bessent 후임 美 재무장관, 中과 무역협상 재개 의향 시사(18S)
ㅇ 블룸버그 : 中 해커, 옐런 美 재무장관 포함 재무부 컴퓨터 400여개 침투…3,000여개 파일 접근(18-19경,신)
ㅇ 中 내수 부진으로 작년 EU의 對中 수출실적 전년대비 4.4% 감소(19S)
ㅇ 美의 中 틱톡 금지령 1.19 발효…트럼프, 취임일(1.20)에 금지 유예 행정명령 내릴 전망(다수 언론)
(사설 및 칼럼)
ㅇ 미중, 기업가 출신 트럼프의 美 대통령 부임 속 비즈니스 협력 강화 통해 양국 갈등 해결 가능(18SA14(Wang Huiyao))
* 대공보(대), 성도일보(성), 명보(명), 경제일보(경), 신보(신), 오문일보(오), SCMP(S)
/끝/